르브바하프 왕국 재건설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르브바하프 왕국 재건설기는 가상의 국가인 르브바하프, 고센, 비센하르 3개국의 평화를 깨고 비센하르의 침략으로 멸망한 르브바하프 왕국의 재건을 위한 막내 왕자 반과 시녀 코나, 사상가 시안의 이야기를 다룬 작품이다. 원작 만화를 바탕으로 제작된 애니메이션은 2007년 MBC에서 총 26화로 방영되었으며, 원작과 비교하여 유리엘 공주의 비중 증가, 오리지널 캐릭터 등장, 개그 요소 강화 등의 차이점을 보인다. 애니메이션은 전반부는 원작을 따르지만 후반부는 오리지널 스토리로 구성되었으며, 각 화의 부제는 사자성어로 이루어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3년 만화 - 선생님의 시간
선생님의 시간은 모모세 타마미가 그린 만화로, 어린 외모의 여교사와 개성 넘치는 학생들의 학교생활을 다루며,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었으나, 일부 평론가들은 등장인물 묘사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보이기도 한다. - 2003년 만화 - 사상 최강의 제자 켄이치
《사상 최강의 제자 켄이치》는 시라하마 켄이치가 후린지 미우를 만나 무술 도장 ‘료잔파쿠’에 입문하여 성장하는 이야기를 그린 마쓰에 나오토시의 만화로, 애니메이션, OVA, 게임 등 다양한 미디어 믹스 작품으로 제작되었으며, 켄이치는 료잔파쿠의 사범들과 함께 ‘라그나로크’와 ‘요미’ 등의 적들과 싸우며 ‘영원한 석양’을 저지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 왕자를 주인공으로 한 작품 - 어린 왕자
어린 왕자는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가 사하라 사막에 불시착한 조종사와 어린 왕자의 만남을 통해 삶의 본질과 인간관계의 소중함을 이야기하는 소설이다. - 왕자를 주인공으로 한 작품 - 강희왕조
강희왕조는 청나라 강희제 시대를 배경으로 한 중국 드라마로, 강희제의 재위 기간 동안의 주요 사건들을 다루며, 진도명이 강희제 역을 맡아 2002년 금응상 우수 드라마 상을 수상했다. - 200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메이플스토리 (애니메이션)
넥슨 게임 《메이플스토리》를 원작으로 매드하우스에서 제작한 애니메이션 《메이플스토리》는 세계수 파괴 10년 후 세계수를 되살리기 위한 주인공 알의 모험을 그리며, 알은 여러 종족 동료들과 함께 악의 조직 ‘흑익’에 맞서 싸운다는 내용을 담고 있고, 2007년 10월부터 2008년 3월까지 TXN 계열 방송국에서 방영되었다. - 200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검정고무신
검정고무신은 1960년대 한국 사회와 가족의 이야기를 다룬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1999년 설날 특집으로 처음 방영되었으며, TV 시리즈와 극장판으로 제작되었고, 원작자와 제작사 간의 지적 재산권 분쟁이 있었다.
르브바하프 왕국 재건설기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제목(원제) | Revbahaf Kingdom Rebuilding Story |
장르 | 코미디 |
만화 정보 | |
작가 | 김민희 |
출판사 | 서울문화사 |
연재 잡지 | 슈가 |
레이블 | 슈가 북스 |
연재 시작 | 2003년 |
연재 종료 | 2004년 |
단행본 권수 | 3권 |
애니메이션 정보 | |
원작 | 김민희 |
감독 | 유재운 |
조감독 | 이석인 |
성우 | 김장 소연 정혜옥 정유미 김지영 정혜옥 신용우 임채헌 |
기획 | 이병덕 |
각본 | 황석연, 최가희 |
캐릭터 디자인 | 유재운, 이석인 |
프로듀서 | 안성은, 정승원, 이병덕(MBC) |
촬영 감독 | 김문기, 권오준 |
음악 | 이종교, 최영진 |
음향 감독 | 고광현(KBS) |
오프닝 곡 | 준비됐어 (SLAM) |
엔딩 곡 | Good Bye (영원한 건 아냐) (SLAM) |
미술 감독 | 한문중 |
애니메이션 제작 | (주)스튜디오 카브 |
제작사 | (주)스튜디오 카브 |
방송사 | MBC |
기타 방송사 | OBS(지상파) 카툰 네트워크 애니맥스 투니버스(유료 방송) ATV 홈 ATV 월드(지상파) |
대한민국 방영일 | 2007년 5월 21일 ~ 2007년 11월 26일 |
홍콩 방영일 | 2010년 8월 16일 ~ 2010년 9월 28일 |
화수 | 26화 |
2. 줄거리
가상의 국가인 르브바하프, 고센, 비센하르 3개국은 서로 균형을 이루며 평화롭게 공존하고 있었다. 그러나 비센하르가 이러한 균형을 깨고 르브바하프를 침략하여 르브바하프 성은 점령당하고 만다. 피비린내 나는 살육전 속에서 간신히 탈출한 르브바하프의 막내 왕자 반과 시녀 코나, 사상가 시안은 고센 접경지대의 한 오두막집에서 은신하며 르브바하프 왕국의 재건을 위한 힘찬 발걸음을 내딛는다.
애니메이션은 원작의 내용을 기본적으로 반영하고 있으나, 세부적인 사항에서 차이가 있다. 원작에 비해 애니메이션에서는 개그 비중이 상당히 높고, 결말 부분은 애니메이션 쪽이 좀 더 구체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원작에서는 그 이후의 일부 이야기를 4컷 만화로 다룬다.
3. 원작과 애니메이션의 차이점
2007년 5월 21일부터 11월 26일까지 MBC에서 총 26화로 방송되었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유리엘 공주의 비중이 대폭 늘어나 로맨스 요소가 강화되었고, 오리지널 캐릭터가 등장하는 등 독자적인 전개로 이야기가 확장되었다. 전반부는 원작을 따르지만, 후반부(14화 이후)는 대부분 오리지널로 구성되어 있다.
본편 후에는 '유리엘의 1분 경제' 코너가 있으며, 부제는 모두 사자성어로 되어 있다.
3. 1. 캐릭터
원작에서 등장 횟수가 매우 적은 유리엘은 애니메이션에서 중심 인물로 급부상한다. 원작에서 이름조차 언급되지 않았던 비센하르의 황태자는 애니메이션에서 '빅토르'라는 이름으로 자주 등장한다. 원작 후반부에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흑인 소년 베니는 애니메이션에서 제외되었다.
3. 2. 내용 전개
애니메이션은 기본적으로 원작의 내용을 반영하고 있으나, 세부적인 사항에서 차이가 있다.
2007년 5월 21일부터 11월 26일까지 MBC에서 방송되었으며, 총 26화로 구성되어있다. 원작에 비해 유리엘 공주의 비중이 대폭 늘어나 로맨스 요소가 강화되었고, 오리지널 캐릭터의 등장 등, 애니메이션 판만의 독자적인 전개로 이야기를 확장시킨 부분이 곳곳에서 보인다. 전반부는 기본적으로 원작에 따라 이야기가 진행되지만, 후반부(14화 이후)는 일부를 제외하고 거의 오리지널로 구성되어 있다.
본편 후에는 '유리엘의 1분 경제'라는 코너가 마련되어 있다.
부제가 모두 사자성어로 되어 있다.
4. 등장 인물
왕국 | 인물 | 성우 | 설명 |
---|---|---|---|
르브바하프 왕국 | 김장 | 르브바하프 왕국의 막내 왕자. | |
시안 | 정혜옥 | 르브바하프 왕국의 사상가. | |
코나 | 정유미 | 르브바하프 성의 시녀. | |
존 장군 | 임채헌 | 르브바하프 왕국의 장군. | |
셀비지오 | 신용우 | 르브바하프 왕국의 음유시인. | |
베니 | 젊은 군인. | ||
브루미안 | 정혜옥 | 반의 누나. | |
고센 왕국 | 유리엘 | 소연 | 고센의 공주. |
유모 | 정유미 | 유리엘의 시녀. | |
고센 국왕 | 신용우 | 고센의 국왕. | |
비센하르 왕국 | 빅토르 | 정재헌 | 비센하르의 황태자. |
아라우네 | 김지영 | 비센하르 왕국의 친위대장. | |
스몰토르 | 신용우 | 빅토르의 동생. | |
제이드 | 아라우네의 부하. | ||
기타 | 아론 | 임채헌 | 반 일행이 사는 오두막집 주인. |
미카 | 김지영 | 아론의 딸, 왕실 매니아. | |
토티 | 정혜옥 | 미카의 친구, 왕실 매니아. | |
팔랑 | 김지영 | 야생 곰. |
4. 1. 르브바하프 왕국
- '''반 왕자''' (김장): 르브바하프 왕국의 막내 왕자이다. 본명은 '반 로뎀하윈즈 차미도르 구트 릴리 루미안 르브바하프'이며 17세이다. 평소에는 낙천적이고 소탈하지만, 때로는 자신의 장래를 진지하게 고민하는 모습도 보인다.
- '''시안''' (정혜옥): 르브바하프 왕국의 사상가이다. 겉모습은 소년이지만 실제 나이는 75세 노인이다. 반 왕자에게 조언을 해주는 역할을 하지만, 소년의 모습으로 오래 지내다 보니 철없는 행동을 하기도 한다. 노인의 모습일 때 성우는 정재헌이다.
- '''코나''' (정유미): 르브바하프 성의 시녀였던 14세 소녀이다. 가냘픈 체구와는 달리 엄청난 괴력을 지니고 있으며, 집안일을 도맡아 한다. 음유시인 세르비지오의 팬이다.
- '''존 장군''' (임채헌): 르브바하프 왕국의 재건을 위해 노력하는 70대 장군이다. 구관조 크랙타와 함께 다닌다. 과묵하고 표정 변화가 거의 없다.
- '''셀비지오''' (신용우): 르브바하프 왕국의 음유시인이다.
- '''베니''': 젊은 군인이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최종화 엑스트라로 등장)
- '''브루미안''' (정혜옥): 반 왕자의 누나이다.
4. 2. 고센 왕국
'''유리엘 공주'''(소연)는 16세로, 상업 국가인 고센의 공주이다. 반 왕자와 결혼을 약속한 사이이다. 최근 반 왕자가 비센하르의 추적을 피해 어디론가 숨어있다는 소식을 듣고 애타게 걱정하고 있다. 원작에서는 출연 빈도가 적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작품의 히로인으로서 출연 빈도가 대폭 늘어났다.'''고센 국왕'''(신용우)은 유리엘 공주의 아버지이자 고센의 국왕이다. 지위에 걸맞게 근엄한 모습을 보이지만, 딸인 유리엘과 체스 대결 등에서 코너에 몰리자 어린아이처럼 유치한 모습을 보이기도 하는 등, 알고 보면 상당한 팔불출이다.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캐릭터이다.
'''유모'''(정유미)는 유리엘의 시녀로 사실상 엄마 역할을 하고 있다.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캐릭터로, 유리엘을 어릴 적부터 돌보며, 항상 곁에서 시중을 든다.
4. 3. 비센하르 왕국
'''빅토르'''(정재헌): 비센하르 왕국의 황태자. 르브바하프 왕국을 멸망시킨 장본인이다. 냉혹한 성격으로 코센 왕국에 군사력으로 압박을 가해 유리엘과 정략 결혼을 맺어 비센하르의 국력 확대를 꾀하고 있다. 자신을 맹목적으로 사랑하는 심각한 나르시시스트로, 거울을 보면 사람이 변한다.'''아라우네'''(김지영): 비센하르 왕국의 친위대장. 지명 수배된 반 왕자를 쫓고 있다.
'''스몰토르'''(신용우):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캐릭터. 빅토르의 동생으로, 빅토르와 사이가 좋지 않아 유리엘이나 반 일행에게 협력한다.
'''제이드''':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캐릭터. 아라우네의 직속 부하. 동물을 싫어한다.
4. 4. 기타
5. 애니메이션 제작진
애니메이션 《르브바하프 왕국 재건설기》는 여러 제작진의 협력으로 만들어졌다. MBC판과 투니버스판으로 나뉘어 방영되었으며, 두 판본 모두 김민희의 원작 만화를 바탕으로 스튜디오 카브에서 제작했다.
MBC판은 이병덕이 기획, 유재운이 감독, 한문중이 미술, 김문기가 촬영, 고광현이 음향 감독을 맡았다. 프로듀서는 안성은·정승원, 제작지휘는 김신화가 담당했다.
투니버스판은 이병덕이 책임 프로듀서, 안성은·정승원이 프로듀서, 김신화가 제작 지휘를 맡았다. 유재운이 감독, 이석인이 조감독, 한문중이 미술 감독을 담당했고, 시나리오는 황석연·최가희, 콘티는 최지원이 맡았다.
주제가는 오프닝 테마 '준비 됐어'와 엔딩 테마 'Good Bye(영원한 건 아냐)' 모두 Dr.G가 작사·작곡하고 SLAM이 불렀다.
5. 1. MBC판
5. 2. 투니버스판
역할 | 이름 |
---|---|
책임프로듀서 | 이병덕 |
제작지휘 | 김신화 |
프로듀서 | 안성은, 정승원 |
원작 | 르브바하프 왕국 재건설기 |
원작자 | 김민희 |
출판사 | 서울문화사 |
시나리오 | 황석연, 최가희 |
콘티 | 최지원 |
캐릭터디자인 | 유재운, 이석인 |
미술감독 | 한문중 |
원화 | 유재운, 이석인, 박성은, 김제형 |
동화 | 신금섭, 황수진, 이은실, 유수옥 |
배경 | 나무 프로덕션 |
색지정 | 조연주, 유보라 |
디지탈채색 | 몬스터 프로덕션, 김진경, 임호영, 김진영 |
촬영감독 | 김문기, 권오준 |
디지탈촬영 | 팀 카인, 함선기, 조남기, 정복현, 이태훈, 이지현, 김용원 |
플래시애니메이션 | 최가희 |
출력편집 | 서울애니메이션센터, 전대현, 함종민, 서울산업통상진흥원, 황인수 |
마스터링·오프닝엔딩 | 디지컴코리아, 반승준 |
C.G | 박희경 |
음향감독 | 고광현 |
음향믹싱 | 이재홍 |
음향녹음 | 박영희 |
녹음연출 | 조정란 |
음악 | 이종교, 최영진 |
오프닝테마 | 준비됐어 |
작사·작곡 | Dr.G |
노래 | SLAM |
엔딩 테마 | Good Bye (영원한 건 아냐) |
작사·작곡 | Dr.G |
노래 | SLAM |
온라인홍보 | 안숙원 |
조감독 | 이석인 |
감독 | 유재운 |
기획 | Tooniverse |
제작 | 스튜디오 카브 |
5. 3. 주제가
구분 | 작사 | 작곡 | 노래 |
---|---|---|---|
오프닝 테마 「준비 됐어」 | Dr.G | Dr.G | SLAM |
엔딩 테마 「Good Bye(영원한 건 아냐)」 | Dr.G | Dr.G | SLAM |
6. 애니메이션 방영 목록 (MBC)
회차 | 부제 |
---|---|
1 | 절체절명(絶体絶命) |
2 | 기고만장(気高万丈) |
3 | 동상이몽(同床異夢) |
4 | 백의종군(白衣従軍) |
5 | 기절초풍(気絶招風) |
6 | 불가사의(不可思議) |
7 | 중구난방(衆口難防) |
8 | 화기애애(和気藹藹) |
9 | 낭중지추(嚢中之錐) |
10 | 애지중지(愛之重之) |
11 | 송구영신(送旧迎新) |
12 | 지성감천(至誠感天) |
13 | 측은지심(惻隠之心) |
14 | 폭풍전야(暴風前夜) |
15 | 연모지정(恋慕之情) |
16 | 안분지족(安分知足) |
17 | 파란만장(波瀾万丈) |
18 | 전화위복(転禍為福) |
19 | 천생연분(天生縁分) |
20 | 호연지기(浩然之気) |
21 | 혈혈단신(孑孑単身) |
22 | 대기만성(大器晩成) |
23 | 위기일발(危機一髪) |
24 | 선전포고(宣戦布告) |
25 | 점입가경(漸入佳境) |
26 | 고진감래(苦尽甘来) |
7. 미디어 믹스
르브바하프 왕국 재건설기는 다양한 미디어 믹스 콘텐츠를 통해 그 세계관을 확장해왔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